놀이터에 모인 고학력 엄마들, 경력 단절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오늘도 회사에서 퇴사자 한 명이 또 생겼어요. 벌써 올해만 두 번째 퇴사인데요. 워낙 밝고 일에 욕심도 많은 직원이었는데, 결혼 후 임신 계획을 고민하던 중 퇴사를 결정했다고 하더라고요.
누구나 처음은 잠시만 쉬는 것부터,
경단녀가 되는 과정은 그렇게 시작된다.
저희 회사가 육아휴직이 안 되는 것도 아니고, 임산부에 대한 배려를 안 해주는 회사도 아닌데 왜 그만둘까 고민을 많이 하게 되었는데요. 2시간 가까이 면담해 보니, 결혼하고 나니 집에서 좀 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더라고요.
경력 단절의 시작, 어디서부터 일까?
'나는 절대 결혼해도 일을 그만두지 않겠다'라고 선언했던 직원이었어요. 그런데, 결혼하고 나니 마음이 조금 바뀐 것 같더라고요. 너무 공감 가는 건 저도 똑같았거든요.
그러다 일이 힘들어지기 시작하는 시점,
임신도 해야 하고, 출산도 해야하고,
회사를 그만둘 이유가 너무 많죠. 그렇게 첫 번째 고비를 잘 넘어가도 이번엔 아이를 낳고 나서 두 번째 고비가 오더라고요.
아이가 한참 말을 쫑알거리기 시작할 때쯤,
엄마 회사 안 가면 안 돼?
아이에게 미안하고, 내가 뭐 얼마나 대단하게 잘 살겠다고 이러고 있나 싶죠. 거기에 월급이 돌봄 선생님께 전부 가기 때문에 가정경제가 크게 좋아지지도 않는데 굳이 내가 일을 해야 할까라는 생각은 더 커지더라고요.
이것뿐이겠어요. 고비가 너무 많죠. 아이가 아플 때, 초등학교 입학할 때 등 수많은 고비를 이기고 일을 하기란 너무 어렵다는 거죠.
회사가 경단녀를 채용하기 어려워하는 이유
그렇게 고학력에 능력이 많았던 수많은 여자들이 일을 그만두고 쉬게 되는데요. 처음에는 아이가 조금만 크면 다시 일을 해야지 생각하지만, 아이가 크면서 손이 더 많이 가더라고요. 거기에 취직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 쉬는 기간은 더 길어질 텐데요.
회사는 왜 고학력의 경단녀를
채용하기 어려워할까요?
사실 제일 중요한 이유는, 바로 쉽게 그만두는 것에 대한 평가 때문입니다. 물론 그만두는 게 쉽지 않았을거예요. 최대한 버틸만큼 버텼다가 그만두었을 꺼예요. 하지만 그간 수많은 힘듦을 다 견디고 버틴 사람을 이길 수는 없죠.
일을 못할 것 같아서 또는 일에 대한 감이 떨어져서 채용을 못하는 게 아니라는 게 더 큰 문제거든요. 물경력자도 많은 세상에, 경단녀의 '프로젝트를 마칠 때까지 책임감을 가지고 완수하겠습니다.'라는 말은 믿을 수가 없어지게 되거든요.
사실 해결책은 버티는 것이지만,
정말 안 되겠다면 쉬지는 말아야 해요.
수많은 경단녀분들 중에 채용이 잘 되시는 분들도 꽤 많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분들은 쉬는 동안 꾸준히 무언가를 해오셨다는 거예요. 그게 단순 알바라도 말이죠. 계속 무언가를 하고 있던 사람의 근성을 더 보는 것 같아요.
임신도 해야 하고, 일도 잠시 쉬고 싶어서 그만두겠다는 직원에게 한번 쉬면 다시 일을 하는 게 그렇게 만만치 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해 주었어요.
하지만, 한번 그만두고 쉬겠다고 생각한 사람의 머릿속엔 벌써부터 여행 가고, 하고 싶은 것들을 할 생각이 가득하더라고요. 절대 그게 나쁜 건 아니에요. 문제는 지금의 선택이 나중에 나에게 어떻게 되돌아오느냐라는 거죠.
지금 일을 그만두고 쉬고 싶으신가요. 아마 그 마음은 누구나 마찬가지이겠죠. 저도 그러니까요. 하지만 똑같은 상황에서 누군가는 이를 악물고 버티고 있는 사람이 있을 거예요. 버텼던 사람을 이기기는 쉽지 않죠.
그러니 버티셔야 해요. 지금의 직장이 아니더라도 내 경력이 중단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무언가는 자꾸 만들어가셔야 해요. 나는 쉬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 열심히 버티며 조금씩 나아가고 있으니까요.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당한 사람들의 비밀? 자존감 높은 이들의 공통 행동 3가지 (6) | 2025.03.25 |
---|---|
연봉 인상, 무작정 높게 부르면 안 되는 이유와 협상 성공법 3가지 (4) | 2025.03.18 |
왜 내 동기는 먼저 승진했을까? 당신이 놓친 승진 평가 기준 3가지 (6) | 2025.03.15 |
PPT 도식화 자동 완성! 텍스트만 입력하면 다양한 템플릿 제공, 넵킨 AI (3) | 2025.03.06 |
포기하고 싶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위험 신호와 해결법 (8) | 2025.03.04 |
댓글